서울 성동구 등 전국 9개 지방자치단체가 정부로부터 ‘2025년 스마트도시’로 인증받았다.
국토교통부는 대구, 경기 안양, 부천, 수원 등 대도시 4곳과 서울 성동구, 구로구, 강남구, 은평구, 전남 여수 등 5개 중소도시를 스마트도시로 신규 인증한다고 24일 밝혔다. 스마트도시로 인증받으려면 기반 시설 수준, 공공의 역량과 혁신성, 거버넌스·제도 등을 종합 평가해 총 배점의 70% 이상을 받아야 한다.
인구 50만 명 이상 대도시 중에서는 대구가 인공지능(AI) 기반 스마트교통플랫폼과 대구데이터안심구역 구축 등 데이터 생태계 조성 측면에서 좋은 평가를 받았다. 안양도 AI 동선 추적 시스템, 자율주행 버스 등 혁신 서비스 운영을 인정받았다. 부천은 모바일 통합플랫폼과 온마음 AI 복지콜 등 시민 편의 복지서비스가, 수원은 지능형 교통정보시스템과 스마트폰 사용 제한 스쿨존 등 교통서비스 분야에서 인정받았다.
중소도시 중 성동구는 주민참여 정책 제안 플랫폼, 민관협력 도시 운영 등이 시민 참여와 거버넌스 측면에서 높은 점수를 받았다. 생활연구단을 구성해 초등학교 관계자·학부모 등과의 협의를 바탕으로 안전 통학로 서비스를 개발하고 운영해 눈길을 끌었다는 평가다. 윤종빈 국토부 도시경제과장은 “우수 사례를 발굴해 민간과 함께 해외에 진출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