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아파트값 상승폭이 ‘10·15 부동산 대책’ 시행 이후 4주 만에 다시 커졌다. 거래가 급감하는 가운데 규제에 내성이 생겨 매수심리가 꺾이지 않아서다. 업계에서는 정부가 집값 안정을 위해 공급 대책을 서둘러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20일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이번주(17일 기준) 서울 아파트 매매가는 0.20% 올랐다. 10·15 대책 후 3주간 상승률이 둔화하다가 전주(0.17%) 대비 상승세가 커졌다. 서울 대부분 자치구에서 오름폭이 커졌다. 지난주 0.13% 올랐던 강남구는 이번주 0.24%로 0.11%포인트 뛰었다. 용산구(0.31%→0.38%), 양천구(0.27%→0.34%), 송파구(0.47%→0.53%), 성동구(0.37%→0.43%) 등도 상승세가 가팔라졌다.
이번 반등은 거래 침체 속에서도 이전보다 매매가가 높은 상승 거래가 주도한 것으로 풀이된다. 지난 17일 성동구 성수동 ‘성수동아그린’ 전용면적 58㎡는 13억3000만원(10층)에 거래돼 한 달 만에 최고가(12억5000만원·9층)를 경신했다. 부동산원 관계자는 “서울 목동 등 재건축 추진 단지와 강남, 송파 등 선호 단지에서 상승 거래가 이어졌다”고 설명했다. 김효선 농협은행 수석전문위원은 “구청에 접수된 토지거래허가 신청 건수를 보면 10·15 대책 후에도 매수심리는 크게 영향을 받지 않았다”면서도 “반등세가 이어질지는 좀 더 지켜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김윤덕 국토교통부 장관은 이날 서울 용산에서 열린 ‘국토부·LH(한국토지주택공사) 합동 주택 공급 태스크포스(TF)’ 현판식에서 “가능하면 연내 추가 공급 대책을 발표할 예정”이라며 “이전 정부 발표지와 노후 청사 재건축, 그린벨트 해제 가능 여부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임근호/오유림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