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매시장에 지식산업센터 매물이 쏟아지고 있다.
20일 경·공매 전문기업 지지옥션에 따르면 올해 들어 지난 9월 말까지 법원경매에 나온 지식산업센터는 2593건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1564건을 웃도는 수준이다. 2001년 관련 통계 작성 이래 사상 최대 최대치다. 2019년부터 5년간 연평균 573건이던 지식산업센터 경매건수가 최근 2년간 3~4배 많아졌다.
경매 시장에 지식산업센터 매물이 쏟아진 것은 지난해 중반부터 입주가 예정됐던 지식산업센터를 중심으로 은행 잔금대출 비율이 축소되거나 전면 중단돼서다.
지식산업센터는 통상 계약금 10%, 중도금 50%, 잔금 40% 비율로 납부하는 구조다. 중도금은 집단대출 방식으로 이뤄진다. 이후 입주가 시작되면 중도금 대출이 잔금 대출로 전환되는 식이다.
하지만 금융권이 분양가의 70~80% 수준에서 해오던 잔금대출을 급격히 조이거나 내주지 않는 상황이 됐다. 지식산업센터 시황이 악화하면서 수익률과 담보가치가 하락해서다. 이에 계약자들 가운데 이자를 갚지 못하는 양상이 나타나고 있다.
금융권은 통상 이자를 3회 연체하면 채권회수 목적으로 경매절차에 나서게 된다. 이에 따라 은행의 잔금대출 중단이 지속될 경우 법원경매로 넘어가는 지식산업센터는 더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수분양자들은 신용불량자가 될 처지에 놓였다. 물론 지식산업센터가 경매로 넘어간다고 무조건 신용불량자가 되는 건 아니지만, 신용등급이 하락할 수 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계약자들은 불만이 많다. 은행들이 대출을 내주지 않는 이유는 이해한다면서도 전국적으로 일괄적인 잔금대출 중단은 과도하다는 불만이 터져 나오고 있다.
계약자들이 잔금을 내지 못하면서 지식산업센터 관련 시행사와 시공사 역시 유동성 위기를 겪고 있는 상황이다.
업계 관계자는 "분양 물량이 정점이던 2021~2022년 공급된 지식산업센터 입주가 본격화한 작년부터 이런 상황이 이어지고 있다"며 "시장에선 '바닥이 보이지 않는다'는 얘기도 나오고 있다"고 설명했다.
한편 한국산업단지공단에 따르면 올 4월 말 기준 전국 1547곳 지식산업센터 가운데 수도권에 77%(1191개)가 몰려 있다. 경기도에 715개(60%)가 집중된 것을 비롯해 서울(395개), 인천(81개) 순으로 나타났다.
이송렬 한경닷컴 기자 yisr0203@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