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15 부동산 대책’ 시행 후 서울과 수도권 주요 지역 아파트값 오름세가 한풀 꺾이고 있다. 서울 전역과 경기 12곳을 ‘삼중 규제’(조정대상지역·투기과열지구·토지거래허가구역)로 묶어 대출 규제 등을 강화한 영향이다. 경기 구리, 화성 동탄 등 규제에서 비켜난 지역에선 상승 폭이 커지며 ‘풍선 효과’도 일부 나타나고 있다. 전세 물건 부족으로 수도권 전셋값은 강세를 이어가고 있다.
◇한강 벨트 상승세 약화

6일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이번주(지난 3일 기준) 서울 아파트 매매가는 0.19% 상승했다. 지난주(0.23%)보다 오름폭이 줄었다. 10·15 대책 시행 후 2주 연속 상승세가 약해졌다. 그동안 아파트값이 빠르게 치솟던 ‘한강 벨트’ 지역이 조정 국면을 보인 영향이 크다. 강동구(0.42%→0.35%), 성동구(0.37%→0.29%), 마포구(0.32%→0.23%), 광진구(0.20%→0.15%) 등 한강 벨트는 대부분 오름폭이 줄었다. 강남 3구(강남·서초·송파구)도 상승세가 일제히 약해졌다.
아파트 거래량은 규제 확대 이후 급감했다.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에 따르면 지난달 16일부터 이달 5일까지 3주간 서울 아파트 매매(계약일 기준)는 1673건이다. 규제 시행 직전 3주간(9월 25일~10월 15일) 7916건과 비교해 78.9% 감소했다.
거래 급감 속에도 일부 단지는 신고가 사례가 나오고 있다. 강남구 개포동 ‘개포자이 프레지던스’ 전용면적 59㎡(12층)는 1일 33억5000만원에 손바뀜했다. 같은 면적 과거 최고가보다 2억원 뛴 금액이다. 서대문구 남가좌동 ‘DMC파크뷰자이5단지’ 전용 59㎡(6층)는 지난달 28일 12억원에 거래돼 신고가를 썼다. 이전 최고가보다 8000만원 올랐다.
재건축 기대 등에 집값이 급등한 성남 분당구(0.82%→0.59%)와 과천(0.58%→0.44%) 등도 상승세가 약해지고 있다.
규제에서 비켜난 구리와 화성 등은 집값 상승 폭이 확대되고 있다. 구리 아파트값은 지난주 0.18% 오른 데 이어 이번주에도 0.52% 뛰었다. 화성도 같은 기간 0.13%에서 0.26%로 오름폭을 확대했다. 남혁우 우리은행 부동산연구원은 “상대적으로 주택담보대출을 더 받을 수 있고, 입지가 양호한 구리 같은 비규제 지역으로 수요가 이동한 것”이라며 “서울 강북권에 주로 있는 10억원 이하 아파트는 담보인정비율(LTV)이 40%로 줄면서 대출 가능 규모도 이전보다 대폭 감소했다”고 설명했다.
◇물건 부족에 전셋값 강세
서울 아파트 전셋값은 이번주 0.15% 상승해 40주째 오름세를 이어갔다. 지난주(0.14%)보다 오름폭이 커졌다. 올해 들어 평균 0.05%를 유지하던 서울 전셋값 주간 변동률은 정부가 추가 규제를 내놓을 것으로 알려진 지난 9월 말부터 오름폭을 확대하기 시작했다.
이번주에는 송파구(0.34%) 강동구(0.28%) 양천구(0.27%) 서초구(0.23%) 용산구(0.23%) 광진구(0.20%) 등의 전셋값이 크게 올랐다. 송파구와 강동구는 올해 누적으로 각각 7.16%, 6.20% 뛰었다. 지난해 같은 기간 각각 2.71%, 0.87% 오른 것과 비교해 상승 폭이 세 배를 웃돈다. 경기에서는 하남(0.47%)과 성남 분당구(0.39%), 수원 영통구(0.28%) 등의 전셋값이 급등 조짐을 보이고 있다. 이창무 한양대 도시공학과 교수는 “전세 물건 감소와 수요 증가가 전셋값을 밀어 올리고 있다”며 “매수를 희망하던 사람도 자금 부담 등의 영향으로 전세로 눈을 돌리고 있다”고 설명했다.
안정락/오유림/임근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