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장동향

보유세 올라도 "집 안 판다"…매물 사라진 강남 아파트 시장

2025.11.06 14:04

내년도 서울 강남권 아파트 보유세가 크게 오를 예정이지만, 집주인들은 매도를 꺼리며 버티기에 나섰다. 문재인 정부 시절 '보유세 폭탄'을 견디고 시세차익을 얻은 경험 때문이다.

6일 업계에 따르면 내년도 공동주택 공시가격 현실화율은 올해와 동일하게 69%로 유지되지만, 아파트값 급등분이 반영되면서 서울 주요 아파트 보유세는 최대 45% 오를 것으로 보인다.

서울 서초구 '반포자이' 전용면적 84㎡ 보유세는 올해 1275만원보다 40.4% 늘어난 1790만원에 달하는 것으로 전망됐고 강남구 대치동 '은마' 전용 84㎡ 보유세는 올해 700만원 선에서 내년엔 43% 오른 1005만원 수준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보유세 인상이 예상되지만 강남 부동산 시장에서는 매도 움직임을 찾아보기 어렵다. 강남구 압구정동 A 공인중개 관계자는 "자산가들이 집을 팔지 않으려 하기에 매물 자체가 거의 없다"며 "규제로 인해 현장 분위기가 위축됐는데, 올해 초와 비교하면 갈아타기나 현금화 목적의 매도 문의가 크게 줄어든 것이 체감된다"고 설명했다.

이는 세금 부담보다 향후 시세 상승으로 인해 더 큰 이익을 얻을 것이라는 기대감이 반영된 결과다. 부동산 보유로 인한 기회비용이 늘더라도 결국엔 자산가치가 한층 크게 상승했던 경험도 있다. 심형석 우대빵부동산연구소장은 "문재인 정부 시절 억대 보유세를 낸 집주인들도 결국 이익을 얻었다"며 "현재 남은 자산가들은 시장 변화에 흔들리지 않는 편"이라고 말했다.

만성적인 공급부족도 집값 상승 기대감을 키운다. 부동산 플랫폼 아실은 내년 서울 아파트 입주 물량이 4600가구에 그칠 것으로 집계했다. 이는 역대 최저로, 신규 공급 감소와 입주 절벽이 맞물리며 향후 집값이 오를 것이라는 기대 심리가 시장에 퍼진 상태다.

부동산R114 설문조사에서는 응답자의 52%가 2026년 상반기 집값이 상승할 것으로 전망했다. 한국부동산원이 집계한 서울 아파트 매매수급지수도 103.2를 기록하며 주택 수요가 2021년 집값 급등기 수준까지 올라갔다.

규제 영향으로 서울 갈아타기 시장이 막히면서 대체 주거지 확보가 어려워진 점도 매물 출회를 막는 요인이다. 시장에서는 매물 출회와 거래 활성화를 촉진하려면 양도세와 거래세 완화 등 정부의 추가적인 정책이 필요하다는 평가가 나온다.

업계 관계자는 "매물이 없고 거래도 원활하지 않은 상황에서는 매도자 우위가 가격을 결정한다"며 "양도세와 거래세 부담을 낮춰 시장에 매물이 나오고 거래가 이뤄지도록 지원해야 한다"고 말했다.

오세성 한경닷컴 기자 sesung@hankyung.com
오세성

이 정보가 유익했다면 소중한 사람들과 나눠보세요.

올해 종부세는 얼마일까?
세무서 방문 없이 예상세금 무료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