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장동향

현금부자는 집 산다…강남구 신고가 거래, 노원구의 10배

2025.11.04 13:11
정부가 서울 등 수도권 주요 지역을 겨냥해 고강도 규제대책(10·15 부동산 대책)을 내놓은 이후에도 강남 3구에서는 신고가 거래가 꾸준히 이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규제에 내성이 생긴 데다 거래 가능 매물의 희소성까지 커지면서 1년 전보다 가격이 10억~20억원가량 뛴 거래도 잇따랐다.

3일 국토교통부 실거래가와 부동산플랫폼 아파트미에 따르면 10월 한 달간 강남 3구(강남·서초·송파구)에서 체결된 아파트 신고가 거래는 231건으로 집계됐다. 송파구가 130건으로 절반가량을 차지했다. 강남구와 서초구가 각각 61건, 40건이었다. 같은 기간 이른바 ‘노도강’으로 불리는 노원·도봉·강북구 내 신고가 거래는 총 30건에 불과했다.

10·15 부동산 대책 발표 이후에도 강남 3구의 상승세는 지속됐다. 규제 시행일인 지난달 16일 이후 강남구와 서초구에서 계약이 체결된 신고가 거래는 각각 20건에 달했다. 삼성동 아이파크 전용면적 195.3㎡는 지난달 17일 직전(81억원)보다 17억원 오른 98억원에, 도곡동 타워팰리스(163.7㎡)는 지난달 29일 11억원이 더 붙은 59억원에 손바뀜했다. 정비사업 조합원 지위 양도 규제가 시행된 가운데 재건축 대장주인 압구정동 신현대2차 전용 121.1㎡가 지난달 16일 73억원에 손바뀜하며 최고가를 갈아치웠다. 1년 전 거래가(48억원)에 비해 25억원이 뛰었다.

이번 대책은 서울 전 지역과 경기 12곳에 세금(조정대상지역), 정비사업(투기과열지구), 실거래 의무(토지거래허가) 등 3종 규제지역을 덧씌웠다. 강남권에서 꾸준히 신고가 거래가 나오는 것은 이들 지역은 해당 규제를 받고 있었기 때문이다. 다만 최근 계약 거래는 규제 발표 이전 토지거래허가를 신청해 ‘강화된 대출 규제’(LTV 60%→40%)는 피해 갔을 가능성이 크다.

서울 외곽 지역은 거래가 더 위축됐다. 10월 한 달간 강북구의 신고가 거래는 총 5건, 지난달 16일 이후에는 단 1건에 불과했다. 노원구도 한 달간 19건의 신고가 가운데 16일 이후 거래는 2건뿐이었다. 토지거래허가구역이 서울 모든 지역으로 확대된 지난달 20일 이후에는 허가 신청에 따른 시차 등으로 거래 자체가 이뤄지지 않았다.

규제에 내성이 강하고 현금 부자가 많은 강남 3구와 용산구로 수요가 집중될 것이란 분석도 나온다. 박원갑 국민은행 부동산 수석전문위원은 “대출 문턱이 높아질수록 실수요자의 접근성이 떨어지고 자금력이 충분한 수요자가 집중된 아파트 시장만 가격을 방어하게 된다”고 말했다.

이유정 기자
이유정

이 정보가 유익했다면 소중한 사람들과 나눠보세요.

올해 종부세는 얼마일까?
세무서 방문 없이 예상세금 무료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