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장동향

서초·구로·중랑구…'월세 거래'가 전세 추월

2025.10.30 13:33
‘10·15 부동산 대책’ 시행 이후 전세 물건이 줄면서 서울 아파트 시장에서 ‘전세의 월세화’ 현상이 강해지고 있다. 구로, 중랑 등 외곽에서부터 서초, 강동 등 인기 지역까지 이달 들어 월세 거래량이 전세를 웃돌고 있다. 정부가 집값을 잡기 위해 ‘삼중 규제’(투기과열지구+조정대상지역+토지거래허가구역) 적용 지역을 대폭 확대하는 초강수를 뒀지만 애먼 임차인(세입자)의 주거비 부담이 늘어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서초구도 월세>전세

29일 서울부동산정보광장에 따르면 이날 기준 구로구의 이달 아파트 월세 거래량은 310건(계약일 기준)으로 전세(256건)를 크게 웃돌았다. 지난달만 해도 전세(426건)가 월세(362건) 거래보다 많았다. 한 달 새 분위기가 바뀐 것이다. 중랑구도 상황은 비슷하다. 지난달엔 전세 거래량(412건)이 월세(203건)의 두 배 수준이었다. 이달 들어선 월세(252건) 계약이 전세(145건)보다 활발히 이뤄지고 있다.

월 임대료가 기본 수백만원에 달하는 고가 지역 상황도 비슷하다. 서초구에선 이달 전·월세 거래량이 역전됐다. 신축 대단지인 ‘메이플자이’(3307가구)의 물건을 살펴봐도 월세(530건)가 전세(429건)보다 많다. 금천(월세 75건, 전세 58건), 강동(월세 457건, 전세 411건)에서도 월세 선호가 이어지고 있다. 마포, 용산, 은평, 강북 등 지역에선 월세 거래량이 전세를 바짝 따라붙고 있다.

부동산 빅데이터 업체 아실에 따르면 대단지 공급이 잇따르고 있는 동대문구의 전세 물건은 10·15 대책 이후 17% 급감했다. 지난 14일 1122건에서 이날 932건으로 감소했다. 정부가 잇달아 내놓은 부동산 대책의 영향으로 풀이된다. ‘6·27 대책’으로 갭투자(전세 끼고 매수)에 활용되는 소유권 이전 조건부 전세 대출이 금지됐다. 10·15 대책에선 서울 전역에 실거주 의무가 부과됐다.

그동안 시장에서 전세 공급자 역할을 해온 갭투자자와 다주택자의 물량이 줄어 전세난이 심화하고 있다. 전세대출이 규제 대상이 되면서 수요자가 전세보증금을 마련하는 것 자체도 힘들어졌다. 전세사기 사태 이후 월세가 대세가 된 빌라(연립·다세대) 시장에 이어 아파트 시장도 월세가 확산하고 있다.
◇월세 상승률, 10년간 최고
세입자로선 월세화 현상이 전혀 반갑지 않다. 주거비 부담이 커지기 때문이다. 중저가 단지인 강북구 ‘SK북한산시티’ 전용면적 84㎡의 최근 월세 실거래가는 160만원(보증금은 5000만원)이었다. 다음달 집들이하는 동대문구 ‘이문아이파크자이’ 전용 59㎡는 보증금 5000만원, 월세 250만원짜리 물건이 올라와 있다. 강남권엔 월 임대료가 1000만원이 넘는 계약도 있다. 서초구 ‘래미안원베일리’ 전용 133㎡ 집주인은 이달 월세 1500만원(보증금 7억원)에 세입자를 들였다.

전세에서 월세로 계약 형태가 바뀌는 사례도 적지 않다.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에 따르면 노원구 ‘상계주공2단지’ 전용 59㎡ 세입자는 기존 보증금 2억5000만원에서 보증금 3000만원, 월세 75만원으로 바꿔 최근 갱신계약을 맺었다. 이 같은 흐름 속에 수도권 아파트 월세는 최근 10년 새 가장 높은 수준으로 뛰었다. 국민은행 월간 시계열 자료에 따르면 올해 1~9월 기준 서울·경기·인천 아파트 월세 상승률은 6.27%로, 2016년 통계 작성 이후 최고치를 보였다.

매물이 잠기자 전셋값 상승 압력도 높아지고 있다. 동대문구 이문아이파크자이에선 전세 호가를 올리는 사례가 다수 나타나고 있다. 전용 84㎡ 집주인은 10·15 대책 이후 전세보증금을 7억원에서 7억5000만원으로 올렸다.

이인혁 기자
이인혁

이 정보가 유익했다면 소중한 사람들과 나눠보세요.

올해 종부세는 얼마일까?
세무서 방문 없이 예상세금 무료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