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의 10·15 부동산 대책 시행 이후 서울 아파트 시장이 얼어붙은 것으로 나타났다. 거래량은 급감하고 매물도 줄어들고 있다.
29일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에 따르면 지난 16일부터 28일까지 13일간 체결된 서울 아파트 매매거래는 713건에 그쳤다. 직전 13일(3~15일)간 거래량이 3447건을 감안하면 10·15 대책 발표 후 거래량이 79.3% 줄었다.
서울 전역이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지정된 지난 20일부터는 거래가 한층 더 쪼그라들었다. 20일부터 28일까지 체결된 서울 아파트 매매거래는 90건에 불과하다. 직전 9일(11~19일) 거래량 3311건 대비 97.9% 급감한 수치다.
거래절벽이 심화하며 매물도 빠르게 줄었다. 부동산 빅데이터 플랫폼 아실에 따르면 전날 기준 서울 아파트 매물은 6만4845건으로, 15일(7만4044건)과 비교해 12.5% 감소했다. 규제 전 매수세가 몰렸던 성동구 행당동의 한 중개업소 관계자는 "거래가 안 될 것 같으니 매물을 내놨던 집주인들도 다시 거두는 분위기"라며 "실제로 문의 자체가 끊겼다"고 말했다.
10·15 대책에 따라 서울 25개 자치구는 16일부터 규제지역으로 지정됐고, 규제지역에 적용되는 LTV(주택담보인정비율)도 기존 70%에서 40%로 낮아졌다. 이에 서울에서 매수를 준비하던 수요자들은 줄어든 대출한도에 맞춰 수억원의 현금을 마련해야 한다.
이들 지역은 20일부터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도 지정되면서 아파트뿐 아니라 다세대·연립 등 공동주택도 거래 허가를 받아야 매매가 가능해졌다. 전세를 끼고 거래하는 갭투자가 막히고, 거래할 경우 실거주 의무가 부과된다.
정부의 수요 억제 대책으로 인해 서울 아파트 매매 시장은 당분간 거래 한파가 이어질 전망이다. 서울 내 매수세가 비규제지역으로 이동하면서 안양·부천·군포·구리·동탄 등 규제를 피한 지역에서는 실수요와 투자 문의가 몰리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대책 발표 이후 규제지역 아파트 거래량이 큰 폭으로 줄어들고 있다"며 "거래 급감 추세는 상당기간 유지될 것"이라고 내다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