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제도

서울시, 공업지역을 '직·주·락' 공간으로…서남권 대개조 청사진 제시

2025.10.29 13:22


서울 서남권 일대에 집중된 노후 공업지역이 ‘직·주·락’(직장·주거·여가) 복합 공간으로 탈바꿈할 전망이다. 서울시가 지난해 발표한 ‘서남권 대개조’의 구체적인 가이드라인이 제시되면서다. 이전·미개발 부지는 520% 이상의 높은 용적률을 적용해, 미래 전략 산업 기반의 고밀 개발을 추진한다.

서울시는 공업지역을 산업·주거·문화가 공존하는 미래 신산업 중심의 복합혁신거점으로 전환하기 위한 ‘2040 서울 공업지역 기본계획’을 마련했다고 28일 밝혔다. 작년 2월 발표한 서남권 대개조 전략의 일환이다. 서남권에 집중된 노후 공업지역을 새로운 성장거점으로 탈바꿈하겠다는 계획이다.

2040 서울 공업지역 기본계획은 도시 공업지역의 관리 및 활성화에 관한 특별법에 따라 수립되는 법정계획이다. 공업지역 유형별 관리 방향, 권역별 미래전략산업, 공업지역 정비구역 지정에 관한 기본 방향 등 내용이 담겼다. 서울시는 오는 30일 서울시청 서소문별관에서 주민 공청회를 열고 업계 전문가 및 시민 의견을 들을 계획이다. 이후 도시계획위원회 심의 등을 거쳐 기본계획을 최종 확정한다.



서울시는 기본계획 수립과 병행해 ‘산업혁신구역’ 제도를 본격 도입한다. 공장·공공시설 이전 부지, 미개발 부지 등 5000㎡ 이상 대규모 필지를 정비하는 제도다. 가용면적(실사용 면적)의 50% 이상을 산업 용도로 채울 경우, 120%포인트까지 용적률을 늘릴 수 있다. 인공지능(AI), 정보통신기술(ICT), 생명기술(BT) 등 미래 전략 산업을 유치할 경우 용적률 추가 및 공공기여 완화 혜택도 제공할 계획이다. 다음 달 6일부터 60일간 시범사업 후보지 공모를 받는다.

산업혁신구역 제도를 적용받지 않는 구로디지털단지 ‘G밸리’ 일대는 녹지 공간을 단계적으로 늘린다. 산업 기능 강화와 함께 부족한 휴식 공간을 확충하기 위해서다. 조남준 서울시 도시공간본부장은 “서울의 노후 공업지역을 신산업 중심의 미래 혁신 공간으로 전환하는 작업이 본격화하고 있다”며 “산업·주거·문화가 어우러진 공간으로 재정립하는 기회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서울시는 작년 11월 ‘준공업지역 제도 개선 방안’을 발표한 바 있다. 서남권 대개조의 첫 번째 후속 조치다. 준공업지역 내 공동주택을 포함한 복합시설을 개발할 때 최대 400%까지 용적률을 완화하는 내용이다. 기부채납, 공공임대주택 공급 등 방법으로 상한 용적률 인센티브 150%를 확보하는 방식이다. 이전까지는 준공업지역에서 주거시설을 개발할 때 최대 250% 용적률을 적용받았다.

손주형 기자 handbro@hankyung.com
손주형

이 정보가 유익했다면 소중한 사람들과 나눠보세요.

올해 종부세는 얼마일까?
세무서 방문 없이 예상세금 무료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