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부가 고강도의 10·15 부동산 대책을 내놨지만 서울 집값은 강세다. 전문가는 "대단지나 역세권 등 실수요자들이 많이 찾는 단지를 중심으로 거래가 늘었다"고 분석했다.
23일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에 따르면 이달 셋째 주(20일) 기준 서울 집값은 0.5% 상승했다. 서울 집값은 올해 들어서만 6.64% 뛰었다. 지난해 4.01% 올랐는데 연간 상승률을 웃도는 상황이다.
정부는 서울 전역과 분당·과천 등 경기도 12곳을 투기과열지구·조정대상지역·토지거래허가구역 등 3중 규제 지역으로 묶는 초고강도 부동산 대책을 발표했다. 이들 지역에서는 전세를 끼고 집을 사는 '갭투자'가 차단됐자. 주택담보인정비율(LTV)이 종전 70%에서 40% 이하로 축소했고 시가 15억원 초과 아파트의 주택담보대출 한도를 4억원, 25억원 초과 아파트는 2억 원으로 제한했다. 그럼에도 주요 지역 집값은 식지 않는 모습이다.
광진구가 1.29% 올라 서울에서 가장 높은 상승률을 보였다.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에 따르면 광진구 광장동에 있는 '광장현대9단지' 전용면적 84㎡는 지난 12일 20억3000만원에 거래돼 신고가를 기록했다. 이 면적대는 연초 14억원대에 팔렸는데 당시보다 6억원 이상 오른 셈이다.
같은 동에 있는 '광장힐스테이트' 전용 84㎡는 지난 10일 25억2000만원에 손바뀜해 최고가를 기록했다. 지난 8월에 거래된 24억3000만원보다 9000만원이 더 오른 수준이다.

성동구도 1.25% 상승했다. 금호동 1가에 있는 '이편한세상금호파크힐스' 전용 84㎡는 지난 10일 23억5000만원에 거래돼 직전 최고가 22억3000만원보다 1억2000만원 뛰었다. 금호동2가에 있는 '래미안하이리버' 전용 59㎡도 지난 15일 19억원에 거래돼 직전 최고가보다 3억원 더 상승했다.
이 밖에 강동구는 1.12% 뛰었는데 명일동과 고덕동 대단지를 중심으로 상승했다. 양천구(0.96%)는 목동과 신정동 역세권 단지에서, 송파구(0.93%)는 방이동과 문정동에 있는 재건축 단지가 가격 상승을 이끌었다. 중구(0.93%)는 신당동과 황학동에서, 마포구(0.92%)는 공덕동과 염리동 중소형 단지를 중심으로 올랐다.
부동산원 관계자는 "전반적으로 정주여건이 양호한 대단지와 역세권 등 실수요자들이 선호하는 단지에서 가격이 올랐다"며 "재건축 추진 단지 역시 서울 전체 상승률에 영향을 줬다"고 설명했다.
서울 전셋값도 0.13% 뛰었다.
양천구(0.29%)는 목동과 신정동 학군지를 중심으로 올랐고 서초구(0.29%)는 잠원동과 우면동 위주로, 송파구(0.27%)는 방이동과 잠실동 주요 단지에서, 강동구(0.24%)는 명일동과 고덕동 대단지에서 전셋값이 올랐다.
성동구(0.2%)는 옥수동과 성수동 구축 위주로, 광진구(0.19%)는 자양동과 광장동 선호단지에서, 용산구(0.15%)는 이촌동과 효창동에서 가격이 상승했다.
부동산원 관계자는 "매물이 부족한 상황이 계속되면서 전셋값이 오르고 있다"며 "실수요자들이 선호하는 단지로 수요가 몰리다보니 가격도 오르는 모양새"라고 진단했다.
이송렬 한경닷컴 기자 yisr0203@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