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아파트값은 내년까지 계속 오를 가능성이 크다.” 한국경제신문이 추석 전 부동산 전문가를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에서 10명 중 8명이 이렇게 답했다. 공급은 부족한데 ‘수도권 아파트 쏠림’은 강해지고 있어서다. 정부의 대출 규제도 전국에서 수요가 몰리는 서울 인기 주거지에선 효과를 내지 못할 것으로 봤다. 지방 중소도시는 인구 감소로 침체가 지속될 것으로 전망했다.
◇“강남 3구·한강 벨트 더 오를 것”
추석 연휴 직전 실시된 이번 설문조사에서 전문가 100명 가운데 절반(50명)은 연말까지 전국 아파트값이 ‘1% 이상 오를 것’이라고 답했다. 34명은 ‘1~2% 상승’, 14명은 ‘3~5% 상승’을 예상했다. ‘보합(-1~1%) 전망’도 45명으로 많은 편이었다. ‘1% 이상 하락’은 5명에 그쳤다.
상승 전망 이유로는 응답자 50명(복수 응답)의 84%인 42명이 ‘공급 부족’을 꼽았다. ‘기준금리 인하 기대’(44%)와 ‘전셋값 상승, 아파트 쏠림 심화’(36%), ‘재건축·재개발 등 부동산 규제 완화’(6%) 등이 그 뒤를 이었다.
상승세 지속 기간에 대해선 50명 중 20명이 ‘내년 하반기’, 15명은 ‘2027년 이후’라고 답했다. ‘내년 상반기’는 11명, ‘연말까지’는 4명에 그쳤다. 50명 중 22명은 서울 강남3구(강남·서초·송파구)가 집값 상승을 이끌 것으로 내다봤다. 21명은 ‘서울 마포·용산·성동·광진 등 한강 벨트’, 4명은 ‘성남·용인·수원 등 수도권 동남권’을 찍었다.
100명 중 44명이 서울 아파트값이 연말까지 ‘1~2% 오를 것’으로 전망했다. ‘3~5% 상승’과 ‘5% 이상 상승’도 각각 29명과 11명이었다. 14명은 ‘보합’을, 2명은 ‘1~2% 하락’을 예상했다. 이진 한국부동산개발협회 정책연구실장은 “정부 공급 대책이 공공주택에 방점을 둔 데다 단기 공급 방안을 내놓지 못하면서 토지거래허가구역 지정 전 서둘러 집을 사려는 추격 매수 움직임이 활발하다”고 지적했다. 이은형 대한건설정책연구원 연구위원도 “몇 년 전과 달리 서울 집값 향방에 대해 시장에서 이견이 거의 없다”며 “서울과 인접 지역 집값도 계속 오를 것”이라고 말했다.
지방 아파트값은 100명 중 55명이 ‘보합’을 전망했다. ‘1~2% 하락’과 ‘3~5% 하락’은 각각 29명, 8명이었다. ‘1% 이상 오른다’는 응답자는 8명에 그쳤다. 지방은 미분양이 많고 인구가 줄어 아파트값 상승 요인이 적다는 분석이다. 김제경 투미부동산컨설팅 소장은 “광역시 핵심 지역을 중심으로 집값이 상승할 것”이라며 “그 외 지방은 쉽지 않다”고 했다.
◇서울 전셋값 고공행진 예상
전국적으로 전셋값은 오를 것으로 보는 전문가가 많았다. 100명 중 54명이 연말까지 전국 아파트 전셋값이 ‘1~2% 상승할 것’으로 예상했다. ‘3~5% 상승’은 14명, ‘5% 이상 상승’은 1명이었다. 27명은 ‘보합’을, 4명은 ‘1~2% 하락’을 전망했다. 상승 전망 의견을 낸 69명은 ‘입주 물량 감소’(68%), ‘집값 급등으로 전세 수요 증가’(33%), ‘임대사업자 전세 보증 강화’(25%) 등을 이유로 들었다.
서울 아파트 전셋값은 강세를 예상한 전문가가 대부분이었다. 100명 중 86명이 연말까지 1% 넘게 오를 것으로 봤다. 40명은 ‘1~2% 상승’을 예상했고 34명은 ‘3~5% 상승’을 전망했다. ‘5% 이상 상승’ 응답자도 12명 있었다. 전셋값 상승 이유로는 물건 감소라는 응답이 많았다. 새 아파트 입주가 줄고 ‘전세의 월세화’가 확산하는 가운데 각종 규제로 수요·공급의 불균형이 커지고 있다는 얘기다. 한 건설사 임원은 “집값이 오르는데 대출을 막으면 매매 수요가 전세 시장으로 넘어갈 수밖에 없다”고 우려했다.
임근호/오유림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