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장동향

"6·27 대책, 무주택자엔 기회…분당 재건축·20년 된 아파트 노려라"

2025.10.01 14:11

“준공 20년 된 서울 강남권 아파트와 경기 성남시 분당 재건축 단지를 주목해야 합니다. 사업이 진행될수록 가격이 오를 것입니다.”(이상우 인베이드투자자문 대표)

부동산 전문가들은 30일 ‘집코노미 박람회 2025’의 부대행사인 ‘집코노미 콘서트’에서 “내집 마련을 미뤄선 안 된다”고 입을 모았다. 수도권 공급 부족으로 ‘똘똘한 한 채’ 수요가 이어질 것으로 내다봤다.
◇잠실 엘스·도곡 렉슬…“지금이 살 기회”
이날 연사로 나온 이상우 대표는 “20년차 단지는 재건축이 임박한 단지보다 관심을 덜 받는데, 이럴 때 사둬야 한다”고 말했다. 송파구 잠실 엘스와 리센츠, 서초구 래미안퍼스티지와 반포자이, 강남구 도곡렉슬 같은 곳이다. 입지가 좋은 데다 30~40년 된 아파트보다 거주하는 데 불편함이 적어 재건축이나 리모델링을 기다리기에 좋다는 설명이다.


이 대표는 재건축을 앞둔 분당 아파트 매수도 긍정적으로 봤다. 그는 “분당은 과천보다 상급지”라며 “재건축 후 3.3㎡당 8000만원에 이를 것”으로 전망했다. 일반 분양가가 높을 것으로 기대돼 분담금이 없거나 소액에 그칠 것으로 내다봤다.

황성우 해안선부동산연구소 대표는 ‘6·27 부동산 대책’이 무주택자에게 절호의 기회임을 강조했다. 황 대표는 “1주택자는 기존 주택을 6개월 내 처분해야만 대출이 나와 무주택자에게 기회가 되고 있다”고 했다.

청약에도 계속 도전하라고 했다. 황 대표는 “같은 날 당첨자가 발표되는 동시 분양인 경우 최고 인기 단지가 아닌 곳 중에서 공급 물량이 많은 곳을 노려야 한다”고 조언했다. 내집 마련이 목적이라면 특별공급 결과를 참고해 선호도가 낮은 면적대와 주택형을 신청하는 것도 한 방법이라는 설명이다.

전문가들은 시니어 하우징에도 관심을 가질 만하다고 했다. 박재병 케어닥 대표는 “노인 인구 비율이 20%를 넘어선 지금이 시니어 시설에 투자할 시기”라고 말했다. 좋은 투자처를 고르는 비결로 ‘병품타’(병원을 품은 실버타운), ‘산세권’(산책로를 갖춘 단지) 등을 꼽았다.
◇“재건축 절차 간소화 필요”
이날 정부의 부동산 대책에 대한 정책 토론도 펼쳐졌다. 정부 주택 공급을 총괄하는 국토교통부의 김헌정 주택정책관과 허윤경 한국건설산업연구원 연구위원, 윤수민 농협은행 부동산전문위원이 열띤 토론을 벌였다. 윤 전문위원은 “수도권 핵심 지역에 주택이 많이 공급될 것이라는 기대를 심어줄 정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허 연구위원은 “서울에서 주택을 공급하려면 재개발·재건축밖에 답이 없는 만큼 절차를 간소화하고 비용을 절감하는 방향으로 가야 한다”고 말했다.

국토부도 공급을 확대해야 한다는 점에 공감대를 나타냈다. 김 정책관은 “정부가 발표한 공급 계획이 차질 없이 진행되도록 연내 법률 등 후속 조치를 마무리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강영연/임근호/손주형 기자
강영연/임근호/손주형

이 정보가 유익했다면 소중한 사람들과 나눠보세요.

올해 종부세는 얼마일까?
세무서 방문 없이 예상세금 무료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