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9·7 주택 공급 확대 방안’에서 시즌 2를 예고한 도심복합사업의 윤곽이 드러나고 있다. 서울 양천구 목동역세권과 강북구 미아16구역 등 5곳의 후보지(1만1336가구)가 지구 지정 준비에 나섰다. 용적률 인센티브 강화와 주민 선택권 보장 등으로 재개발을 앞둔 주민의 기대도 커지고 있다.

◇5개 후보지 지구 지정 속도
23일 업계에 따르면 LH(한국토지주택공사)는 양천구 목동역과 목4동, 강북구 송중동과 미아16구역, 서대문구 고은산 서측 등 5개 도심복합사업 후보지에 관한 주민설명회를 마치고 지구 지정을 준비 중이다. 설명회에선 사업계획과 함께 추정 분담금 규모, 사업 추진 일정 등이 안내됐다. 주택 공급 계획과 지구별 여건에 맞는 상업·공공시설 확충 계획, 녹지 등 생활 인프라 조성 방안도 제시됐다. 후보지는 토지 소유자의 3분의 2 이상, 면적 기준 2분의 1 이상이 동의할 경우 중앙도시계획위원회 심의를 거쳐 지구 지정이 추진된다.
신규 후보지 중 규모가 큰 목4동은 19만㎡의 저층 주거지에 4209가구가 조성될 예정이다. 지구의 절반이 단독주택이고, 대부분 준공 20년이 넘은 노후주택이다. 토지도 1종과 2종, 3종 주거지역이 섞여 있어 민간에선 대규모 개발에 어려움을 겪은 곳이다. LH는 사업지를 3종일반주거지역으로 통일시켜 290%의 용적률을 적용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공공분양 3283가구와 이익공유형 주택 421가구, 공공임대 505가구를 공급할 예정이다. LH는 사업성 보강으로 주민 분담을 줄여 내년 하반기 지구 지정을 목표로 잡았다. 준공은 2034년 예정이다.
양천구 목동역세권은 7만8923㎡ 부지에 2591가구가 공급될 예정이다. 서대문구 고은산 서측 저층주거지도 2577가구로 탈바꿈할 전망이다. 지난 3월 기준 주민 동의율이 70%에 육박하는 등 사업 추진 속도가 빠른 곳으로 꼽힌다.
강북구에선 송중동과 미아16구역에 각각 1083, 876가구가 들어선다. 송중동은 3만6322㎡의 저층 주거지로 용적률 인센티브를 적용할 예정이다. 1만9585㎡ 규모의 미아16구역은 주민 갈등을 봉합하고 사업성을 높여 공급 규모를 당초 544가구에서 876가구로 늘린다.
◇사업성 높이고 선택권 보장
도심복합사업은 2021년 발표된 ‘3080+대도시권 주택 공급 확대 방안’의 핵심 사업이다. 역세권과 준공업지역, 저층 주거지 등 기존 민간이 개발에 어려움을 겪었던 지역을 공공이 주도해 주거지로 탈바꿈하는 방식이다. 공공 참여로 사업 속도는 높이고 주민 갈등을 최소화하는 게 장점이다. 여기에 용적률 상향과 같은 인센티브를 준다.
정부가 최근 ‘공공 도심복합사업 시즌 2’를 9·7 대책에 반영하면서 사업성 향상에 대한 주민 기대가 커지고 있다. 정부는 용적률 완화 규정을 받지 않던 저층 주거지에도 용적률 인센티브를 법적 상한의 1.4배까지 제공하기로 했다. 또 공원녹지 의무 비율을 낮추고 학교용지 부담금도 일부 완화하기로 했다. 사업 절차 역시 통합심의를 확대하고 일부 심의를 생략하는 식으로 간소화하기로 했다. LH는 시공자·감정평가사 추천 등 선택권을 보장해 주민 만족도를 높일 계획이다.
공공이 개발에 직접 참여하면서 투명한 사업 추진도 기대할 수 있다. LH 관계자는 “최근 9·7 부동산 대책 발표로 도심복합사업에 대한 관심이 높고 사업성도 강화되고 있다”며 “이번 주민설명회를 계기로 사업 추진에 한층 탄력이 붙을 것”이라고 말했다.
유오상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