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피스텔 거래량이 눈에 띄게 늘었다. 임대수익률 상승 등에 따른 것이다.
24일 부동산 리서치업체 리얼투데이가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 자료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올 1∼7월 서울 오피스텔 거래량은 7505건으로 작년 동기 대비 19.2% 증가했다.
거래량이 늘어난 것은 임대수익률이 꾸준히 개선돼서다.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올 8월 기준 전국 오피스텔 평균 임대수익률은 5.59%다. 부동산원이 표본을 확대하고 재설계해 새로 통계를 집계하기 시작한 2024년 1월 이후 지속 상승해 가장 높은 수준이다.
권역별로는 지방이 6.01%로 전국 평균을 웃돌았고 수도권은 5.48%로 상승세를 이어갔다. 전국 최고 수익률은 대전(7.84%)이 차지했고 광주(6.65%)와 세종(6.42%)도 높은 수준을 보였다. 수도권에서는 인천(6.23%)의 수익률이 높았다.
서울(4.96%)은 상대적으로 수익률이 낮았지만, 주요 업무지구를 중심으로 임대 수요가 꾸준하고 공실률이 낮은 데다 최근에는 소형 아파트 대체제로 주거형 오피스텔이 실거주 수요를 일부 흡수하는 추세다.
오피스텔은 준주택으로 분류돼 6·27 부동산 대책의 대출규제 대상이 아니어서 자금 조달이 상대적으로 유리한 것도 장점으로 꼽힌다.
업계 관계자는 "최근 오피스텔은 단순한 투자 상품을 넘어 실거주 수요까지 흡수하는 구조로 바뀌고 있다"며 "소유하더라도 청약 때 무주택자로 인정받기 때문에, 서울 주요 지역에서 높아진 아파트 진입장벽을 넘고자 주거형 오피스텔로 집을 마련하려는 수요가 꾸준히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송렬 한경닷컴 기자 yisr0203@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