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27 부동산 대책 이후 아파트 매매시장에서 거래량은 급감했지만, 가격은 지역별로 상반된 흐름을 나타냈다.
15일 부동산 플랫폼 직방(대표 안성우)이 국토교통부 아파트 매매 실거래가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전국 거래량은 6월 5만3220건에서 7월 3만4304건, 8월 3만841건으로 크게 줄었다. 수도권은 같은 기간 3만1132건(6월), 1만4331건(7월), 1만2982건으로 6월과 비교해 절반 이상 거래량이 줄고 거래가격 변동폭도 크게 낮아졌다.
거래가격 변동률을 살펴보면 6월 전국 평균 거래가격 변동률은 0.94%, 수도권은 1.17%로 비교적 높은 수준을 나타냈다. 하지만 거래량이 크게 줄어든 7월과 8월에는 전국 변동률이 각각 0.66%, 0.67%로 둔화됐고, 수도권은 0.70%, 0.57%까지 변동폭이 축소됐다.
반면 수도권 외 지방은 같은 기간 0.62%, 0.63%, 0.74%로 오히려 소폭 상승세를 보이며 수도권과는 다른 행보를 보였다. 이는 6.27 대책 규제 범위에서 벗어난 지방이 거래량 감소 폭도 제한적이었고, 가격 흐름도 완만하게 유지돼서다.
수도권에서는 거래가 줄어든 상황에서도 상승 거래 비중이 절반 안팎을 유지했다. 서울은 줄어든 거래 속에서도 7월·8월 모두 56%, 53%가 상승 거래였고, 평균 상승 변동률도 1%대를 유지하며 수도권 상승을 견인했다. 반대로 경기와 인천은 6월 50% 수준이던 상승 거래 비중이 7·8월 절반 아래로 떨어지면서 가격 변동폭도 크게 축소됐다. 일부 인기 지역을 제외하면 상승세가 약화된 모습이다.
서울은 25개 자치구 중 19곳이 8월에도 종전 거래보다 비싼 가격으로 절반 이상 거래됐다. 용산은 8월 거래가격이 종전 대비 4.28% 올랐고, 광진·중구·마포·강남·강동 등 도심 중심지역에서도 강세가 이어졌다.
경기지역에서는 과천과 분당의 거래 중 60% 이상이 8월 상승거래가 차지했고. 가격도 강세를 보였다. 반면 외곽 지역에서는 하락·보합 거래가 차지하는 비중이 늘기도 해 지역별 차이가 컸다.
지방은 6·27 대책 영향권에서 벗어나 거래량 감소 폭이 수도권보다 크지 않았고, 평균 변동률도 ±1% 이내에서 움직였다.
김은선 직방 부동산빅데이터랩실 랩장은 "6·27 대책 이후 아파트 시장은 거래량 급감과 가격 양극화라는 두 가지 특징을 보였다"며 "거래량은 전국적으로 줄었지만, 서울은 여전히 상승 거래가 절반 이상을 차지하며 국지적 강세를 이어갔다. 반대로 경기·인천은 외곽 지역 중심으로 약세가 나타나면서 수도권 내부에서도 온도 차가 뚜렷한 모습"이라고 평가했다.
이어 "공급 부족에 대한 불안감이 커지자 이를 완화하기 위한 성격의 9·7 공급대책이 발표됐는데 중장기적으로는 공급 확대 기대가 커지며 시장의 불안 심리를 낮추는 효과가 예상된다"면서도 "다만 실제 체감 공급까지는 시간이 필요해 당장의 시장 반응은 제한적일 가능성이 크다"고 진단했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