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중구 을지로 일대가 주거·업무·관광 기능을 복합 수행하는 공간으로 재탄생한다. 상대적으로 개발에서 소외돼온 지역인 만큼 향후 도심의 활력소로 거듭날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서울시는 지난 3일 제14차 도시계획위원회를 열고 중구 ‘주교동과 광희동 일대 도시정비형 재개발사업’의 정비구역을 지정했다고 4일 밝혔다. 지하철 2호선 을지로4가역과 2·4·5호선 환승역인 동대문역사문화공원역 사이에 있는 이들 지역은 오랜 기간 개발이 정체돼 왔다.
방산시장을 포함한 주교동은 인쇄업·포장업 등 도심 제조업이 밀집돼 있다. 서울시는 지역특화산업, 직주(업무+주거) 복합, 녹지생태 공간이 결합한 공간으로 정비할 방침이다. 세운지구의 녹지 축과 국립의료원 신축 이전지를 연결해 동대문디자인플라자(DDP)까지 연속적인 녹지 보행로를 구축할 계획이다.
몽골타운이 있는 광희동은 패션·뷰티산업을 활용한 관광 명소로 육성한다. DDP, 동대문 패션거리 등 주변 자원과 시너지를 낼 것으로 기대된다. CJ제일제당센터 등 기존에 단독 개발된 곳은 유지하면서 정비가 필요한 곳을 묶어 대규모로 개발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서울시는 주변지 개발 현황을 고려해 기준 높이를 20m 완화하고 최대 90m까지 조성하도록 할 계획이다. 허용 용적률 800%를 적용하고, 조례 개정 후 880%까지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기부채납, 친환경 건축물 등 각종 인센티브를 더하면 1000% 넘는 용적률을 적용해 고밀 개발도 가능하다.
손주형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