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공개된 서울 중구 서울백병원 부지 개발 계획안을 두고 업계에서 아쉬움을 표출하는 목소리가 이어지고 있다. 명동과 인접해 입지 경쟁력은 탄탄하지만, 구역 범위나 지정용도 측면에서 사업성 저하가 예상된다는 지적이 나온다.

3일 업계에 따르면 중구청은 최근 서울백병원 부지가 포함된 ‘충무로 도시정비형 재개발사업 정비구역 지정 및 정비계획 결정(안)’을 열람 공고했다. 서울백병원 부지(저동 2의 85)가 인근 27개 소규모 필지와 함께 4-1구역(6674㎡)으로 묶인 게 눈에 띈다. 한 개발업계 관계자는 “사업시행자 입장에선 이런 구역 통합지정이 부담스러울 수밖에 없다”며 “다른 구역 사례를 살펴볼 때 저동 2의 85와 그 외 27개 필지를 분리해 구역 지정하는 게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4-1구역엔 연면적 3000㎡ 규모 응급시설을 설치하는 지정용도도 설정됐다. 문제는 응급시설은 적자폭이 매우 크다는 점이다. 실제로 많은 응급의료센터가 각종 지원금을 받고도 매년 수십억원의 적자를 보고 있다. 이용자가 많을수록 적자폭이 더 커지는 것으로 알려졌다. 업계에서 백병원이 대규모 적자로 2023년 운영을 중단한 상황에서 세부적인 보상과 운영비 지원 방안 없이 응급의료시설 요건을 둔 것에 대해 비판의 목소리가 나온다. 한 시행사 관계자는 “서울백병원 부지는 명동과 을지로, 청계천과 가까워 업무시설이나 호텔, 오피스텔 등으로 개발하고 싶어 하는 수요가 많다”며 “그런데 지난 7월 이번 공람안이 공개된 뒤 매수 의사를 철회한 업체가 많다”고 전했다. 백병원을 운영하는 인제대 재단도 답답해하는 상황인 것으로 전해졌다. 부지 매각 대금은 대학에 귀속돼 학교 운영 재원으로 활용된다. 하지만 이번 정비구역 지정안이 확정돼 매각이 지연되면 재단도 손해를 볼 수밖에 없다.
서울시는 도심 의료 공백 해소를 위해 응급의료시설 지정용도 설정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당초 서울백병원 부지를 종합병원으로만 이용할 수 있도록 도시계획시설로 지정하는 방향이 추진됐다. 일각에선 원안과 비교하면 이번 공람안이 사업자가 계획을 유연하게 수립할 수 있도록 친화적으로 바뀌었다는 평가도 나온다.
이인혁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