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발정보

서리풀 '그린벨트 해제' 첫발…강남권 2만가구 '속도전'

2025.09.04 13:34
지난해 11월 정부의 수도권 주택 공급 대책 일환으로 발표된 서울 서초구 서리풀지구에서 개발제한구역(그린벨트) 해제가 탄력받고 있다. 국토교통부의 지구 지정 제안 10개월 만에 전략환경영향평가 초안이 공개돼 다음달 설명회를 진행한다. 주거 선호도가 높은 서울 강남권에 2만 가구를 공급하는 사업이다. 당시 발표된 경기 고양 대곡과 의정부 용현, 의왕 오전왕곡지구도 그린벨트 해제 절차에 속도를 내고 있다. 정부는 이들 사업(5만 가구)에 더해 이달 3만 가구 규모의 그린벨트 해제 방안을 공급 대책에 포함할 예정이다.
◇서리풀, 지정 10개월 만에 환경평가

3일 업계에 따르면 서리풀 공공주택지구의 전략환경영향평가와 기후변화영향평가서 초안에 대한 공람이 다음달 10일까지 이뤄진다. 주민 설명회는 다음달 1일 예정돼 있다.

전략환경영향평가는 개발기본계획을 수립하기 전 환경 측면에서 계획 적정성과 입지 타당성 등을 검토하는 절차다. 초안에 따르면 정부는 서리풀1지구 201만8074㎡에 1만8000가구, 서리풀2지구 19만3259㎡에 2000가구를 공급한다. 전체 2만 가구 중 1만1000가구는 신혼부부용 장기전세주택인 ‘미리내집’으로 조성한다. 사업시행자는 LH(한국토지주택공사)다. 첫 분양은 2029년, 사업 완료는 2035년 예정이다.

정부는 1지구의 주택건설 용지를 기존 70만6657㎡에서 81만3952㎡로 확대해 공급 물량을 늘리는 대안을 고려했다. 그러나 초안에서는 대안을 채택하지 않았다. 과도한 택지 확대로 자연환경과 주거환경이 훼손될 수 있다는 판단에서다. 2지구도 택지 비율을 높이는 대안이 제시됐지만, 채택되지는 않았다.

서리풀지구는 지난해 정부가 발표한 주택 공급 대책 중에서도 ‘금싸라기 땅’으로 평가받는다. 강남권 입지에 자족복합용지와 여의천~양재천으로 이어지는 수변공원이 함께 조성된다.

주민공람 절차 이후 인허가에 속도가 붙을 전망이다. LH는 지난 7월 사업타당성 조사에 착수했다. 국토부는 주민 의견 수렴을 마치는 오는 11월 최종 평가서를 제출할 예정이다.
◇대곡·용현·왕곡도 속도
지난해 서리풀지구와 함께 발표된 고양 대곡지구와 의정부 용현지구, 의왕 오전왕곡지구도 개발 절차가 진행 중이다. 9400가구 규모로 개발될 대곡지구는 대곡역세권 199만㎡에 주택과 지식융합단지가 함께 조성된다. 서리풀지구보다 앞서 7월 주민 의견수렴 절차를 시작해 내년 상반기 지구 지정을 앞두고 있다.

대지 187만㎡에 1만4000가구가 공급될 예정인 오전왕곡지구는 지난달 전략환경영향평가 초안이 공개됐다. 오는 15일 주민 설명회를 거쳐 최종 평가를 진행할 예정이다. 전체 부지 가운데 33.7%가 주택건설용지로 사용된다. 인근 의왕고천 공공주택지구와 백운밸리 도시개발사업 등과 연계해 환경 훼손을 줄이면서 주거 환경을 확보할 계획이다.

용현지구는 의정부시 신곡동과 용현동 일원 81만㎡에 7000가구가 들이는 프로젝트다. 7월 LH가 환경영향평가 용역 입찰공고를 냈다. 연내 주민 의견 수렴 절차를 거쳐 2029년 첫 분양에 나설 예정이다.

이달 발표를 앞둔 정부의 공급 대책엔 추가 그린벨트 해제 후보지가 포함될 가능성이 크다. 앞서 국토부는 지난해 11월 발표 때 올해 3만 가구 규모의 그린벨트 해제 택지를 발표하겠다고 예고했다. 서울 지역 그린벨트는 전체 면적의 24.6%인 149㎢에 달한다.

유오상 기자
유오상

이 정보가 유익했다면 소중한 사람들과 나눠보세요.

올해 종부세는 얼마일까?
세무서 방문 없이 예상세금 무료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