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장동향

서울 아파트값 상승 둔화 지속…11개구는 오름폭 확대

2025.08.29 14:20


6·27 부동산 대책 발표 2개월이 지난 가운데 서울 아파트값 상승폭이 둔화세를 이어갔다.

28일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이번주(지난 25일 기준) 서울 아파트 매매가는 한 주 전보다 0.08% 올라 지난주(0.09%)보다 0.01%포인트 낮아졌다.

부동산원은 관계자는 “전반적으로 매수 관망세가 이어지고 있으나 재건축 추진 단지 및 정주 여건이 양호한 대단지, 학군지 등 위주로 매매가격이 오르며 서울 전체적으로 상승했다”고 설명했다.

강남 3구는 서초구(0.15%→0.13%)와 강남구(0.12%→0.09%), 송파구(0.29%→0.20%) 모두 상승폭이 축소됐다. 강북권에서는 용산구(0.10%→0.09%)는 상승률이 소폭 하락했으나 성동구(0.15%→0.19%)와 마포구(0.06%→0.08%)는 상승폭이 확대됐다.



서울 25개 자치구 중 직전 주 대비 가격 상승폭이 커진 곳은 성동·마포를 비롯해 종로구(0.05%→0.06%), 광진구(0.09%→0.18%), 동대문구(0.07%→0.08%), 성북구(0.02%→0.04%), 강북구(0.02%→0.03%), 도봉구(0.00%→0.04%), 노원구(0.02%→0.03%), 영등포구(0.08→0.11%), 관악구(0.07%→0.08%) 11곳이다.

경기도(0.00%→0.01%)는 직전 주 대비 가격이 소폭 상승한 가운데 과천시(0.20%→0.18%)는 상승세가 둔화했고 성남시 분당구(0.17%→0.18%)는 오름세가 소폭 확대됐다.

수도권 전체(0.03%)로는 상승률이 지난 주와 동일했다. 경기(0.00%→0.01%) 상승폭 확대, 인천(-0.01%→-0.02%)은 하락폭 확대를 보였다.

지방(-0.02%)은 내림폭이 전주와 같았고 5대 광역시와 8개 도도 직전 주와 같은 0.02% 하락을 기록했다. 전주 보합이었던 세종시는 0.02% 상승했다.

전국 아파트 전세가격은 0.02% 올라 상승폭이 직전 주보다 0.01%포인트 확대됐다.

서울은 입주 물량의 영향을 받는 일부 지역과 구축 아파트 위주로 가격이 하락했으나 학군지, 역세권 등 단지에서 상승 계약이 체결돼 전체적으로는 0.06% 오르며 상승폭이 0.01% 커졌다.

임근호 기자 eigen@hankyung.com
임근호

이 정보가 유익했다면 소중한 사람들과 나눠보세요.

올해 종부세는 얼마일까?
세무서 방문 없이 예상세금 무료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