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 오피스텔 거래량이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서울 아파트 가격이 급등하면서 대체재 특성이 부각된 것으로 풀이된다.
19일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에 따르면 올해 1월부터 6월까지 신고된 서울 오피스텔 매매 거래는 7022건을 기록했다. 전년 같은 기간 5633건에 비해 24.9% 늘어나면서 2022년 상반기(9707건) 이후 3년 만에 가장 많은 수준이 됐다.
2020~2021년 집값 급등기에 아파트의 대체재로 주목받았던 오피스텔은 2022년 하반기 금리가 급등하면서 수요가 감소했다. 2022년 상반기 9707건이던 서울 오피스텔 거래량은 2023년 상반기 4313건까지 쪼그라들었다.
하지만 최근에는 오피스텔 거래량이 반등하면서 가격도 오름세로 돌아섰다. KB부동산 통계에 따르면 올해 1월 123.49였던 서울 오피스텔 매매가격지수는 7월 124.11까지 상승했다. 1월 2억9857만원이던 평균 매매가격도 7월 3억54만원을 기록했다.
올해 상반기 10억원 이상에 거래된 초고가 오피스텔은 230건에 달했다. 전년 같은 기간 93건에 비하면 2.5배 많고, 오피스텔 거래가 활발했던 2021년 131건과 비교해도 1.8배 수준이다. 아파트와 실사용 면적이 비슷해 '아파텔'이라 불리는 오피스텔을 중심으로는 신고가 거래도 늘어가고 있다.
양천구 '목동하이페리온2' 전용면적 155㎡는 지난 6월 33억2000만원(11층)에 팔렸다. 지난 5월 기록한 이전 최고가 30억1000만원(27층)과 비교하면 한 달 만에 3억1000만원 뛰었다.
전문가들은 아파트 가격이 급등하면서 오피스텔 시장에도 활기가 돌고 있다고 설명한다. 아파트 대체 수요가 오피스텔에 유입되는 가운데, 아파트 주택담보대출을 최대 6억원으로 제한한 6·27 대출 규제로 인해 오피스텔 거래가 더욱 늘어날 것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심형석 우대빵부동산연구소 소장(미국 IAU 교수)은 "오피스텔에는 6·27 대출 규제가 적용되지 않는다"며 "지금처럼 대출 규제가 계속된다면 내년부터 서울 오피스텔 수요가 본격적으로 증가할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오세성 한경닷컴 기자 sesu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