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집값이 거듭 상승하며 부담이 커지자 서울을 떠나 경기·인천으로 향하는 탈서울 행렬이 이어지고 있다.
1일 한국부동산원의 매입자 거주지별 아파트 매매거래 현황에 따르면 올해 6월 경기도에서 체결된 아파트 매매 1만9332건 가운데 서울 거주자가 사들인 건수는 2558건으로 전체의 13.2%를 차지했다.
서울 거주자가 가장 많이 아파트를 사들인 지역은 하남시다 하남 아파트 매매 가운데 서울 거주자 매입 비중은 6월 35.8%로 경기도에서 가장 많았다. 이어 광명시가 34.9%로 2위를 차지했다. 이들 지역에서 아파트를 사들인 10명 중 3명은 서울 사람이라는 의미다. 김포(24.2%), 의정부(20.9%), 고양(20.7%) 등도 서울 거주지 매입 비중이 20%대로 나타났다.
인천으로 눈을 돌리는 서울 거주자도 늘어가는 추세다. 인천 아파트의 서울 거주자 매입 비중은 6월 7.4%를 기록했다. 경기에 비해 높은 수치는 아니지만, 전월 6.6%와 비교하면 0.8%포인트(P) 증가했다. 특히 계양구는 서울 거주자 매입 비중이 11%로 가장 높았고, 서구와 부평구도 9.4%씩 차지했다.
부동산 업계에서는 서울 집값이 장기간 상승하자 주거 부담이 커진 수요자들이 서울과 가까운 경기·인천으로 눈을 돌리는 것으로 해석했다.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은 3.36% 상승했지만, 경기와 인천은 0.27%, 0.9%씩 떨어졌다.
탈서울 현장이 이어지면서 서울 인구도 꾸준히 줄어들고 있다. 통계청에 따르면 올해 6월 기준 서울 총인구수는 932만5616명으로 1년 전보다 4만명 이상 감소했다. 2022년부터 최근까지 줄어든 인구만 약 40만명에 달한다.
업계 관계자는 "수도권 주요 지역으로의 인구 분산이 점차 가속할 가능성이 크다"며 "탈서울 현상이 장기화하면서 수도권 내에서도 입지에 따른 양극화가 심화할 것"이라고 내다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