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장동향

거래절벽에도 신고가 속출…"6·27 규제 후 초양극화 가속"

2025.07.29 14:24

수도권 주택담보대출 한도를 6억원으로 제한한 6·27 대출 규제 이후 수도권 아파트 시장의 초양극화가 가속됐다는 지적이 나왔다.

부동산 중개업체 집토스는 6·27 대출 규제 이후 한 달간의 수도권 아파트 매매를 분석한 결과 거래량 감소율이 72.5%에 달했다고 29일 밝혔다. 이는 같은 기간 비수도권 거래 감소율 39.9%에 비해 1.8배 높은 것으로, 대출 규제의 직접적인 타깃이 되었던 수도권 시장의 매수 심리가 비수도권에 비해 훨씬 더 크게 위축된 결과다.

집토스는 규제로 인해 시장이 급격히 위축됐지만, 소수 핵심 자산으로 매수세가 몰리면서 가격 상승을 이끄는 '똘똘한 한 채' 현상이 더욱 강해졌다고 지적했다.

6·27 대책 이후, 수도권에서 20억원 초과 아파트 거래량은 대책 이전 한 달 대비 85.8% 급감하며 가장 큰 폭으로 줄었지만, 신고가 비율은 66.1%로 모든 가격대 중 가장 높았다. 전용면적 85㎡ 초과 대형 평수 역시 거래량은 79.2%나 감소했지만, 신고가 비율이 12.1%에 달해 전 평형 중 1위를 기록했다.

신고가의 양뿐만 아니라 질적인 측면에서도 수도권이 더 우위였다. 한 번 오를 때 얼마나 많이 오르는지를 나타내는 '대책 이전 최고가 대비 상승률'은 수도권이 5.6%로 비수도권(4.1%)보다 높았다. 특히 서울 서초구는 대책 이전에 비해 최고가가 8.6% 올라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건축 연도별로도 양극화가 나타났다. 수도권에서 신고가 비율이 가장 높았던 아파트는 확실한 주거 가치를 가진 '5년 이하 신축(12.7%)'과 재건축 가능성이 높아진 '30년 초과 노후 구축(9.5%)'이었다. 준신축(4.2%)이나 일반 구축(4.4%) 아파트의 신고가 비율은 그 절반에도 미치지 못했다.

이재윤 집토스 대표는 "수도권 아파트 시장에서 극심한 거래 절벽 속에서도 고가 아파트를 중심으로 신고가가 속출하는 모순적인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며 "이는 대출 의존도가 낮은 자산가들이 시장의 불확실성 속에서 가장 안전하고 희소성 높은 자산만 선택적으로 집중하고 있음을 보여준다"고 말했다.

오세성 한경닷컴 기자 sesung@hankyung.com
오세성

이 정보가 유익했다면 소중한 사람들과 나눠보세요.

올해 종부세는 얼마일까?
세무서 방문 없이 예상세금 무료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