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서울에서 아파트 매매가 많은 자치구 10곳 중 7곳은 강남권과 한강 벨트였다. 이달엔 노원·구로 등 비핵심지 5곳이 이름을 올렸다. 대출 규제로 시장 참가자들이 몸을 사리는 가운데 규제 영향을 덜 받는 중저가 아파트는 상대적으로 거래가 활발했다.
27일 서울부동산정보광장에 따르면 이달 아파트 매매가 많은 서울 자치구는 송파(187건), 노원(179건), 강남(145건), 구로(126건), 강서(122건), 은평(121건), 양천(111건), 영등포(105건), 강동(93건), 성북(91건) 순이었다. 지난달 강동(945건), 노원(845건), 성동(805건), 영등포(726건), 마포(702건), 동작(630건), 성북(620건), 송파(611건), 강서(583건), 양천(559건) 순에서 크게 달라졌다.
대출과 갭 투자(전세 끼고 매매)로 집을 많이 샀던 한강 벨트가 규제를 정통으로 맞았다. 성동구는 거래가 전달보다 94.3% 감소했다. 마포(-91.9%), 강동(-90.2%), 동작(-90.2%), 광진(-88.4%) 등도 대폭 줄었다. 송파·강남은 현금 부자들의 수요가 풍부해 영향을 작게 받았다. 구청에 거래 허가를 받아야 하는 곳이어서 지난달 약정한 거래가 이달 실거래로 등록되고 있다는 설명도 나온다.
중저가 아파트가 많은 서울 외곽은 거래량 감소 폭이 60~70%로 영향을 덜 받았다. 노원구는 중계동 ‘대림벽산’ 전용면적 141㎡(15억원) 등 6건을 제외한 나머지가 모두 10억원 이하에 거래됐다. 전용 84㎡ 35건의 매매 평균가는 7억9669만원이었다.
대출 규제로 노도강(노원·도봉·강북구), 금관구(금천·관악·구로구)에 풍선 효과가 나타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오지만, 전문가들 사이에선 견해가 엇갈린다. 수요자가 낡은 단지보다 새 아파트를 선호하기 때문이다. 서울 외곽은 사업성이 낮아 정비사업이 활발하지 않다. 새 단지 공급도 많지 않다.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지난 21일까지 1주일 동안 아파트값 상승률이 높은 자치구는 송파(0.43%), 성동(0.37%), 서초(0.28%) 순이었다. 도봉(0.02%), 강북(0.03%), 중랑(0.05%), 성북(0.05%), 은평(0.05%) 등은 상승률이 낮은 편에 속했다. 송승현 도시와경제 대표는 “일부 입지 좋은 새 아파트가 반사 이익을 얻을 순 있지만, 외곽에서 대대적인 상승세가 나타나기는 쉽지 않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