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집값이 상승 폭을 줄여가고 있다. 정부가 지난달 말 '가계부채 관리 방안'(6·27 부동산 대책)을 발표하며 초고강도 대출 규제에 나서자 시장이 영향을 받는 모양새다.
24일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에 따르면 7월 셋째 주(21일) 기준 서울 집값은 1주일 전보다 0.16% 상승했다. 다만 상승률은 전주(0.19%)보다 0.03%포인트 하락했다.
지난달 넷째 주(23일) 0.43%의 상승률을 기록한 서울 집값은 같은 달 28일 대출 규제가 시행된 이후 마지막 주(30일) 기준 0.4%로 상승 폭이 줄었다. 이후 이달 첫째 주(7일) 0.29%, 7월 둘째 주(14일) 0.19% 등 5주 연속 상승률이 감소하고 있다.
다만 핵심지에선 집값 상승 흐름이 이어지고 있다. 송파구는 0.43% 올랐다. 잠실동과 송파동 재건축 단지가 가격 상승을 이끌고 있다.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에 따르면 송파구 잠실동 '주공아파트 5단지' 전용면적 82㎡는 지난 15일 45억2500만원에 손바뀜했다. 직전 거래 44억5500만원(3일)보다 7000만원 올랐다.

성동구도 0.37% 뛰었다. 옥수동과 행당동 단지가 상승세를 견인했다. 옥수동 '래미안 옥수 리버젠' 전용 84㎡는 지난 5일 22억원에 거래됐다. 지난달 거래된 21억7000만원보다 3000만원 더 올랐다.
성동구에 있는 A 공인 중개 관계자는 "거래가 한두 건 이뤄지고는 있지만 활발하진 않다"며 "대출 규제 이후 문의가 많이 줄어들었다"고 설명했다.
이 밖에도 서초구(0.28%)는 잠원동과 반포동 주요 단지 위주로, 양천구(0.27%)는 신정과 목동에 있는 중소형 규모 아파트를 위주로, 용산구(0.24%)는 이촌동과 효자동 주요 단지에서, 광진구(0.2%)는 자양동과 광장동 학군지 위주로 가격이 올랐다.
반면 수요가 상대적으로 적은 서울 외곽 지역은 상승 폭이 보합에 가까워지고 있다. 도봉구는 이번주 0.02% 올랐고 강북구는 0.03%, 금천구는 0.05%, 노원구는 0.09% 오르는 데 그쳤다.
부동산원 관계자는 "일부 재건축 추진 단지와 대단지 등 선호 단지를 중심으로 상승 계약이 체결됐다"면서도 "다만 실수요자들 사이에서 '지켜보자'는 관망세가 짙어지고 있고 거래가 줄어들면서 서울 전체 상승 폭이 축소됐다"고 설명했다.
서울 전셋값은 0.06% 상승했다. 전주(0.07%)보다 소폭 줄었다.
지역별로 엇갈리고 있다. 서초구가 0.16% 하락했다. 벌써 17주째 하락세다. 잠원동에 있는 '메이플 자이'가 입주를 시작하면서 전셋값에 영향을 주고 있다. 당초 전용 84㎡ 전셋값이 16억~17억원에 형성됐으나 분양 계약자가 세입자의 전세 보증금으로 잔금을 치르는 '소유권 이전 조건부 전세대출'이 6·27 대책으로 금지되면서 전셋값이 큰 폭으로 하락했다.
반면 송파구(0.23%)는 잠실동과 가락동 주요 단지에서, 강동구(0.22%)는 명일동과 암사동 위주로, 강서구(0.13%)는 화곡동과 가양동 대단지에서 전셋값이 상승했다. 용산구(0.11%)는 한강로3가와 한남동에서, 광진구(0.1%)는 자양동과 광장동 학군지 전셋값이 올랐다.
부동산원 관계자는 "역세권과 선호단지를 중심으로 전세 물건 부족 현상이 이어지면서 전셋값이 오름세를 보이는 가운데 입주 물량이 있는 일부 지역에서 가격이 하락해 서울 전체 상승 폭이 줄어들었다"고 분석했다.
이송렬 한경닷컴 기자 yisr0203@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