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용면적 60㎡ 이하의 소형 아파트 매매 가격이 올해 처음으로 40억원대에 진입했다. 서울 한강 이남 11개구(강남·서초·송파·강동·강서·관악·구로·금천·동작·양천·영등포구) 소형 아파트 평균 매매가는 10억1398만원을 나타내면서 조사가 시작된 이래 월별 기준(KB시세)으로 사상 최고가를 경신했다.
20일 연합뉴스에 따르면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 기준 서울 서초구 반포동 래미안원베일리 전용 59.96㎡는 지난 2월24일 40억5000만원(29층)에 팔렸다.
전국적으로 소형 면적의 아파트 매매 가격이 40억원을 넘은 것은 이 거래가 처음인 것으로 전해졌다. 이 단지 같은 면적의 매가는 서초구가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재지정된 날(3월24일) 직전까지 약 한 달간 오름폭이 계속 확대됐다. 3월22일엔 43억원(12층)을 기록해 소형 면적 아파트 역대 최고가를 갈아치웠다.
지난달엔 서초구 반포동 래미안퍼스티지 전용 59.96㎡(6층)와 아크로리버파크 전용 59.98㎡(12층), 강남구 압구정동 한양1차(영동한양) 전용 49.98㎡ 2채(3·10층)가 40억원에 매매 계약을 체결한 것으로 파악됐다.
올해 들어 반포동과 압구정동에서 40억원대에 팔린 소형 면적의 아파트 매매 계약은 상반기(1∼6월)에만 9건을 기록했다.
소형 면적 아파트 선호도 증가는 강남권 등 초상급지를 포함해 서울 전역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현상이다.
민간 시세 조사기관인 KB국민은행의 주택가격 동향 조사 통계에 따르면 지난달 서울 한강 이남 11개구의 소형 아파트 평균 매매가(10억1398만원)는 부동산 급등기였던 2021년 9월(10억1132만원)과 10월(10억59만원) 이후 약 4년 만에 10억원대로 재진입했다.
지난달 서울 전체 소형 아파트 평균 매매가는 8억5350만원. 2022년 9월(8억5577만원) 이후 약 3년 만에 8억5000만원 선을 다시 넘어섰다.
서울 동작구 대방동 주공2차아파트 전용 59.97㎡는 2021년 11억원대까지 올랐다가 부동산 침체기에 접어들면서 2023년 8억원대 후반까지 내려갔다. 하지만 지난달 3일과 7일에 각각 10억1000만원(12층), 10억원(4층)에 매매됐다.
특히 초강력 대출 규제인 6·27 대책의 영향으로 6억원 이하 소형 아파트 매물이 인기를 끌면서 빠르게 소진되고 있다는 관측이다.
올 상반기 기준으로 서울에서 6억원 미만의 소형아파트 매매 건수는 2022년 2674건, 2023년 3652건, 지난해 4336건을 기록했는데 올해는 현재 5954건에 이른다.
지난달 아파트 매매 사례의 등록 신고 기한(30일)이 끝나지 않은 점을 고려하면 6억원 미만인 서울 소형아파트의 올해 상반기 매매 건수는 2021년 상반기(6317건) 수준을 회복할 것으로 예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