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지난달 수도권 주택담보대출 한도를 최대 6억원으로 제한한 '6·27 부동산 대책’을 시행한 후 서울 아파트 최고가 거래량이 70% 이상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직방은 국토교통부 서울 아파트 매매 실거래가 자료를 분석한 결과, 6·27 부동산 대책 발표 이전에 비해 발표 후 최고가 거래량이 74% 줄었다고 14일 밝혔다.
정부의 대책 발표 전 2주 동안(6월 13일~26일) 서울에서 체결된 4693건의 거래 가운데 1141건이 최고가 거래였다. 이는 전체 거래량의 24.3%에 해당하는데, '지금 사지 않으면 더 오른다'는 매수 심리가 고조된 영향으로 풀이할 수 있다.
정부가 주택담보대출 6억원 제한, 소유권이전 전 전세대출 금지 등의 고강도 대출 규제에 나서자 시장은 빠르게 냉각됐다. 대책 발표 후 2주간(6월 27일~7월 10일) 거래량은 1312건에 그쳤고 최고가 거래도 300건에 불과했다.
지역별로 마포구, 성동구, 강동구 등 대책 전 최고가 거래가 많았던 지역에서 최고가 거래가 눈에 띄게 줄었다. 대책 전 2주 동안 최고가 거래량이 139건으로 가장 많았던 성동구는 대책 후 22건으로 84% 급감했다. '텐즈힐2단지(7건→2건)', '옥수파크힐스(13건→1건)' 등 대단지에서만 최고가 거래가 드물게 이뤄지는 모습이다.
최고가 거래가 137건에 달했던 마포구도 대책 발표 후 18건으로 87% 쪼그라들었다. 대책 발표 전 최고가 거래가 가장 많았던 '마포래미안푸르지오3단지(7건)'와 '공덕자이(5건)' 등은 최고가 거래가 사라졌고, '래미안밤섬리베뉴II(6건→1건)', '신촌숲아이파크(3건→2건)' 등도 크게 줄었다.
강동구의 최고가 거래량도 대책 전후 116건에서 23건으로 80% 감소해 규제의 직격탄을 맞았다. '래미안힐스테이트고덕(8건→2건)', '래미안솔베뉴(8건→2건)' 등 신축 랜드마크에서만 최고가 거래가 이뤄졌다. 대책 전 112건의 최고가 거래가 있었던 강남구는 대책 후 41건으로 줄며 63% 감소했고, 서초구는 37건에서 9건으로, 송파구는 64건에서 27건으로 줄었다.
그 외 지역에서도 동작구(85건→15건), 영등포구(82건→18건), 광진구(50건→16건), 강서구(34건→16건), 동대문구(30건→4건) 등 최고가 거래량이 감소세를 보였다. 직방은 전방위적인 대출 규제로 투자수요뿐 아니라 실수요자 또한 관망세로 돌아서며 최고가 거래량이 감소한 것으로 분석했다.
직방 김은선 빅데이터랩실 랩장은 "최고가 거래는 통상 기존 매수 수요의 상승 기대감과 적극적인 매입 태도를 반영한다"며 "최근 최고가 거래 비중의 감소는 기존의 공격적 매수세가 관망세로 전환되고 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강도 높은 규제의 여파로 매수 문의 자체가 줄어들며 거래는 사실상 멈춰선 상태"라고 말했다.
강남권으로 쏠렸던 주택 매수 수요가 서울 외곽이나 경기권 일부 지역으로 분산할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김 랩장은 "자금 여력에 맞춰 비교적 낮은 가격대를 찾아 나서는 수요자들 중심으로 대체지 집값이 자극받을 수 있다"며 "입지나 개발 기대감이 있는 일부 지역은 규제 여파 이후 다시 반등할 가능성도 있어 이들 지역에 대한 추가적인 시장 모니터링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